화면 깨짐 현상 시 CTRL+F5 버튼을 눌러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인쇄

평가결과 통계

의료의 질 평가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심사년도=진료년도)
엑셀 다운로드

시술유형별·연령별 현황

(단위: 건)

연령구분5세 전체 난임시술 인공수정시술 시술
200,007 33,137 166,870
25세미만 317 114 203
25~29세 5,695 1,937 3,758
30~34세 47,799 14,246 33,553
35~39세 69,574 12,452 57,122
40~44세 58,822 3,782 55,040
45세 이상 17,800 606 17,194

시술유형별·의료기관 종별 현황

(단위: 개소, 건)

요양기관종별 기관수 전체 난임시술 인공수정시술 체외수정시술
201 200,007 33,137 166,870
상급종합병원 21 2,710 344 2,366
종합병원 24 32,963 3,015 29,948
병 원 49 41,427 8,665 32,762
의 원 107 122,907 21,113 101,794

시술유형별·연령별·난임 원인별 현황

(단위: 건)

연령구분5세 전체 난임시술 인공수정시술 체외수정시술
소 계 200,007 33,137 166,870
남성요인 29,963 6,908 23,055
배란기능장애 16,425 4,769 11,656
난소기능저하 35,810 1,713 34,097
난관요인 7,252 607 6,645
자궁요인 6,994 1,149 5,845
자궁내막증 3,281 587 2,694
원인불명 41,641 12,358 29,283
기타요인 1,568 30 1,538
복합요인 57,073 5,016 52,057
25세미만 소 계 317 114 203
남성요인 70 21 49
배란기능장애 76 33 43
난소기능저하 5 1 4
난관요인 18 2 16
자궁요인 3 0 3
자궁내막증 0 0 0
원인불명 71 41 30
기타요인 1 0 1
복합요인 73 16 57
25~29세 소 계 5,695 1,937 3,758
남성요인 1,075 382 693
배란기능장애 1,121 434 687
난소기능저하 213 22 191
난관요인 313 32 281
자궁요인 70 31 39
자궁내막증 133 35 98
원인불명 1,480 753 727
기타요인 53 4 49
복합요인 1,237 244 993
30~34세 소 계 47,799 14,246 33,553
남성요인 9,943 3,142 6,801
배란기능장애 7,070 2,499 4,571
난소기능저하 2,606 247 2,359
난관요인 2,030 239 1,791
자궁요인 1,330 380 950
자궁내막증 1,257 295 962
원인불명 13,341 5,542 7,799
기타요인 386 12 374
복합요인 9,836 1,890 7,946
35~39세 소 계 69,574 12,452 57,122
남성요인 13,331 2,735 10,596
배란기능장애 6,309 1,580 4,729
난소기능저하 6,958 438 6,520
난관요인 2,915 257 2,658
자궁요인 3,221 545 2,676
자궁내막증 1,365 205 1,160
원인불명 17,850 4,816 13,034
기타요인 556 7 549
복합요인 17,069 1,869 15,200
40~44세 소 계 58,822 3,782 55,040
남성요인 5,109 598 4,511
배란기능장애 1,725 215 1,510
난소기능저하 17,687 742 16,945
난관요인 1,803 74 1,729
자궁요인 2,143 187 1,956
자궁내막증 502 51 451
원인불명 8,048 1,112 6,936
기타요인 489 5 484
복합요인 21,316 798 20,518
45세 이상 소 계 17,800 606 17,194
남성요인 435 30 405
배란기능장애 124 8 116
난소기능저하 8,341 263 8,078
난관요인 173 3 170
자궁요인 227 6 221
자궁내막증 24 1 23
원인불명 851 94 757
기타요인 83 2 81
복합요인 7,542 199 7,343

시술유형별 시술횟수(차수) 현황

(단위: 건)

시술차수 전체 난임시술 인공수정시술 체외수정시술
200,007 33,137 166,870
1차 79,609 17,309 62,300
2차 43,668 9,683 33,985
3차 24,805 4,038 20,767
4차 14,892 1,353 13,539
5차 9,660 486 9,174
6차 6,831 128 6,703
7차 4,992 55 4,937
8차 3,835 36 3,799
9차 2,964 16 2,948
10차 이상 8,751 33 8,718

연령별 인공수정시술 현황

(단위: 건)

연령구분5세 전체 인공수정시술 배란유도 정자획득 인공수정 시술 완료
(자궁강내정자주입술)
정상임신 임신율 시술중단
33,137 33,137 31,548 31,454 4,081 13.0% 1,683
25세미만 114 114 110 110 19 17.3% 4
25~29세 1,937 1,937 1,872 1,865 309 16.6% 72
30~34세 14,246 14,246 13,619 13,580 1,968 14.5% 666
35~39세 12,452 12,452 11,820 11,782 1,521 12.9% 670
40~44세 3,782 3,782 3,581 3,574 260 7.3% 208
45세 이상 606 606 546 543 4 0.7% 63

설명

· 임신율 산출식 = 정상임신 / 자궁강내정자주입술*100

· 정상임신: 초음파 검사를 통해 임신낭이 확인된 경우

연령별 체외수정시술 현황

(단위: 건)

난임시술구분 전체
체외수정시술
배란유도 정자획득 난자채취 배아수정 체외수정
시술완료
(배아이식)
정상임신 임신율 시술중단 배아모두동결
신선배아 소계 107,716 107,244 93,297 92,455 91,180 40,228 12,135 30.2% 27,835 39,653
25세미만 109 109 103 104 102 53 22 41.5% 8 48
25~29세 2,005 2,001 1,885 1,894 1,870 859 376 43.8% 189 957
30~34세 17,885 17,828 16,668 16,576 16,462 7,797 3,348 42.9% 2,016 8,072
35~39세 33,688 33,562 30,517 30,380 30,083 14,415 5,411 37.5% 5,750 13,523
40~44세 39,791 39,622 33,822 33,470 32,927 13,819 2,829 20.5% 12,677 13,295
45세 이상 14,238 14,122 10,302 10,031 9,736 3,285 149 4.5% 7,195 3,758
동결배아 소계 59,154 - - - - 53,947 22,657 42.0% 5,194 13
25세미만 94 - - - - 91 40 44.0% 3 0
25~29세 1,753 - - - - 1,645 837 50.9% 108 0
30~34세 15,668 - - - - 14,670 7,234 49.3% 995 3
35~39세 23,434 - - - - 21,501 9,994 46.5% 1,927 6
40~44세 15,249 - - - - 13,549 4,317 31.9% 1,697 3
45세 이상 2,956 - - - - 2,491 235 9.4% 464 1

설명

· 임신율 산출식 = 정상임신 / 배아이식*100

· 정상임신: 초음파 검사를 통해 임신낭이 확인된 경우

제공형태, 자료갱신주기, 제공서비스, 자료 상세설명, 자료 생성규칙, 제3자 권리포함 유무, 이용허락범위, 기타 유의사항, 담당자명, 부서명, 담당자 연락처, 작성일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공형태
다운로드 URL 복사
자료갱신주기 연간
제공서비스
  • 시트
  • 파일
자료 상세설명 난임 시술을 위한 배란유도 단계부터 배아이식 및 자궁강내 정자주입술까지의 시술 전 과정
자료 생성규칙 모자보건법(제11조의6 통계관리 등)에 따라 난임시술 지정 의료기관에서 수집한 자료임
제3자 권리포함 유무 포함하지 않음
이용허락범위
저작자 표시-출처표시(공공누리)
저작자 표시-출처표시(공공누리)
출처, 만든이 등을 표시한다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영리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저작물의 내용을 변경하는 등 2차적 저작물을 만들어도 상관 없습니다.
기타 유의사항 ○ HIRA빅데이터개방포털의 공공누리 제1유형 자료는 아래와 같이 출처를 표시하여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ex) “본 저작물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OOO(저작물명)’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IRA빅데이터개방포털(opendata.hira.or.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저작물명을 기입하시기 바랍니다.
부서명 상급종합병원지정부 담당자 연락처 033-739-5837
작성일 2025-03-27